SBSTV 뉴스토리 204회 웹 소설 문화를 바꾼다 웹 소설 진지하게 얘기할 때가 됐다 2018년 10월 27일 예고 미리보기
스마트폰으로 연재되는 웹 소설을 즐기는 사람들이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. 주로 20, 30대가 웹 소설을 많이 보기는 하지만 40, 50대 독자들도 많다. 이들은 웹 소설의 다음 편이 궁금할 경우 유료 편당 100원꼴인 구독료를 기꺼이 지불한다. 한국의 웹 소설 시장은 2016년 1,800억원에서 2017년 2,700억원으로, 최근 들어 한해 50% 이상 급성장하고 있다.
웹 소설 구독자와 시장 규모가 늘어남과 함께 작가 수도 급증하고 있다. 무협. 판타지 전문 웹소설 플랫폼인 문피아의 김환철 대표는 “문피아에 글을 올리는 작가의 숫자가 2013년에는 약 3천명 이었으나 지금은 4만명으로 5년 사이에 10배 이상 늘어났다” 고 말했다. 웹 소설 작가 수는 국내 전체적으로는 2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.
누구나 웹 소설을 써서 작가가 될 수 있다. 신춘문예 같은 진입장벽이 없다. 그 대신 독자들의 선택을 받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. 조회 수와 댓글을 매일 살펴보며 연재 한 회 마다 피나는 경쟁을 벌여 살아남은 작품들은 그만큼 스토리의 흡입력이나 작품성에서 인정을 받은 셈이다. 인기 웹 소설의 경우 구독자 수가 백 만 명이 넘는 작품이 수두룩하다. 연간 수입이 억대인 작가들도 많아졌다. 물론 1년 수입이 1천 만 원 미만인 작가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도 현실이다.